원인 다양한 ‘급성 어지럼증’, 감염 이후 뇌에 이상 생겨 발생하기도
래원:헤럴드경제      2019-09-08 10:59:00

한국  연구팀이 급성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새로운 질환을 규명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어지럼증센터 김지수 교수(신경과)팀은 감염 이후 자가면역기전에 의해 전정신경 및 소뇌, 뇌간에 이상이 생겨 급성 어지럼증이 생긴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최근 밝혔다.

어지럼증은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원인 중 2위를 차지하며 전체 인구 2명 중 1명은 일생 동안 적어도 한 번 경험할 만큼 흔한 증상이다. 특히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급성 어지럼증은 말초 혹은 중추 전정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발생한다. 말초성 원인으로는 전정신경염, 중추성 병변 중에서는 뇌간 및 소뇌 부위의 뇌졸중이 급성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대표적 질환으로 꼽힌다.

어지럼증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화되거나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미리 차단하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자기공명영상(MRI)을 포함한 반복적인 검사에도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상당수였다.

이에 김지수 교수팀은 원인 미상의 어지럼증이 발병하는 기전을 찾아내고자 어지럼증, 의식 및 근력 저하, 이상감각, 복시 등 급성 신경학적 이상을 보였으나 MRI에서는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은 환자 369명을 대상으로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anti-GQ1b 항체)'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약 1/3에 해당하는 113명이 해당 항체에 양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체를 가진 113명 중 10%에 해당하는 11명은 다른 증상 없이 급성 어지럼증이 나타났는데 외안근 마비, 근력 저하, 감각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밀러피셔 증후군, 길랑바레 증후군 같은 질환과 구별되는 새로운 질환임을 알 수 있었다.

‘강글리오사이드’란 포유류의 신경세포막에 분포하고 있는 인지질로, 사이토카인과 호르몬의 수용체 역할을 하며 세포 간 상호작용 및 분화, 성장 조절에 관여한다. 일부 환자의 경우 감염 이후 자가면역기전에 의해 강글리오사이드에 대한 항체가 발생하고 항체가 신경손상을 유발해 근력약화, 감각이상, 복시 등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에 연구팀이 새로 규명한 사실은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의 일종인 anti-GQ1b 항체가 외안근의 운동을 담당하는 뇌신경이나 사지 운동, 감각을 담당하는 체성신경계를 공격할 뿐 아니라 일부에서는 어지럼증을 조절하는 전정신경과 소뇌와 뇌간만을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지수 교수는 “일부 원인 불명 급성 어지럼증의 발병기전을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질환을 찾아 낼 수 있게 됐다”며 “본 연구가 원인 미상의 급성 어지럼증을 극복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임상신경학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신경학(Neur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