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싸움 원인 1위 '육아방식 차이'..현명한 해결법은?
래원:팸타임스      2018-05-15 15:20:00

▲다투고 있는 부부(출처=게티 이미지)

함께 아이를 키우는 부부에게도 육아방식과 가치관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과도하게 대립된 육아법은 부부 간 불화를 조장하기도 하며, 극단적인 경우 한 아이 인생을 망치기도 한다.

육아법 류형

다이아나 바움린드 발달 심리학자는 아동 행동 연구의 일환으로, 미취학 아동(3~5세)의 행동을 관찰했다. 연구 결과 아이들의 행동 방식은 부모의 양육 방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법이 아이들이 사람들 앞에서 보이는 행동 방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바움린드는 네 가지 유명한 육아 방식을 소개했다.

1. 권위주의적인 육아 (높은 수준의 요구, 낮은 반응성)

권위주의적인 부모는 자녀에게 많은 것을 기대한다. 또, 자녀가 기대치에 충족하도록 엄격한 규칙을 세운다. 이러한 부모는 소통에 둔감하며 아이가 복종할 것만을 요구한다.

권위주의적인 부모의 자녀는 자부심이 낮고 학교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또, 사회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심각한 경우 아이가 자라서 알코올 중독이나 마약 중독, 정신질환을 앓기도 한다. 때무에 사회 부적응자나 범죄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2. 권위 있는 육아 (높은 요구성, 높은 응답성)

따뜻하고 인정 많은 부모의 양육 방식이다. 규칙은 있지만 엄격하지는 않다. 여전히 피할 수없는 높은 기대치가 있지만 이들 부모는 아이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아이는 강한 자신감을 가진 어른으로 성장한다. 사회성도 좋고 학문적으로도 뛰어난 편이기 때문에 정신병에 시달리거나 부적응자, 범죄자가 될 가능성도 낮다.

3. 관대한 육아 (높은 응답성, 낮은 요구성)

관대한 부모는 따뜻하고 소통에 탁월하며, 아이가 원하는 모든 것을 해주려고 한다. 아이가 지켜야할 규칙도 별로 없기 때문에 향후 자기중심적이거나 충동적인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또, 사회성 결핍으로 타인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4. 무관심한 육아 (낮은 응답, 낮은 요구)

무관심한 육아는 태만한 부모의 교육방식으로도 불린다. 무관심한 부모는 자녀 양육에 시간을 많이 할애하지 않으며, 직장이나 사업에 몰두한다. 이 경우 아동은 충동적인 성향을 가지며 사회 적응을 어려워한다. 알코올이나 마약 중독에 취약하며 자살률이 높은 편이다.

양육에 관해 : 론증을 피하는 법

각각의 부모는 서로 다른 양육 태도를 가졌을 수 있다. 양육 논쟁은 자녀를 키우고 훈육하는 방식 차이에서 발생한다. 생활건강 웹사이트 '베리웰 패밀리'는 “권위 있는 육아가 이상적인 양육 방식”이라며 “각각의 부모가 모두 양육방식에 동의하면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1. 대화를 해야 한다. 각자 바라는 육아 스타일을 차분하게 토론하고, 타협하는 과정이 필수다.

2. 함께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가정 내 규칙은 분명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망각하거나 어느 순간 변경되지 않도록 작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3. 결과를 함께 결정해야 한다. 때때로 자녀는 규칙을 지키지 않을 것이다. 부모는 아이를 어떻게 처벌해야할 것인지 함께 결정해야 한다.

4. 서로를 지지해야 한다. 남편과 아내는 가정 규칙을 지키고 집행하는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서로를 지지해야 한다. 부모 중 한 명이 특정 규칙을 어기도록 허락한다면 자녀에게 모범이 될 수 없다.

5. 두 번째 기회를 줘야 한다. 한 부모가 판단 실수를 저지른다고 해서 다른 부모가 즉각적인 비난을 해서는 안 된다. 부모 두 사람 모두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 서로에게 두 번째 기회를 줘야 한다.

6. 유연해져야 한다. 양육에 대한 토론을 지속하고, 아이가 육체적·감정적으로 성장할 때 그에 맞춰 필요한 부분을 바꿔나가야 한다.

7. 아이들 앞에서 의견을 달리해서는 안 된다. 웬만큼 큰 불일치나 오해를 풀어야 할 상황이 아닌 경우, 부모가 논쟁하는 모습을 자녀에게 보이지 않는 것이 좋다.

한편, 30대 초반의 덴마크인 여성인 브리 나제라와 한 블로거는 가정 규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안하고 있다.

1. 아이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가정 내 규칙을 확립해야 한다. 그렇다고 급하게 의도적인 규칙을 만들 필요는 없다. 규칙은 목표를 갖고 있으며 지속가능해야 한다. 이를 현실적으로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다.

2. 책임감과 보상이 따라야 한다. 가정 규칙을 지키고 싶은 생각이 들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가정 규칙은 필요한 경우 개선의 여지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유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