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면 코피 잘 나는 이유 '건조함' 때문
래원:다음      2017-09-10 13:21:00

우리 몸에서 가장 피가 잘나는 부위는 어딜까. 출혈이 잦은 부위는 다름 아닌 코다. 손이나 무릎에서도 피가 잘 나지만 이는 물리적인 힘으로 인한 상처가 대부분이다. 반면 코는 물리적인 충격을 받지 않고도 피가 난다. 왜 코에서는 피가 잘 나는 걸까.

코피의 가장 큰 원인은 코로 유입되는 건조하고 찬 공기다. 코는 외부의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인체의 첫 관문으로, 하루에도 많은 양의 공기가 코 점막을 통해 몸속으로 들어간다. 바깥 공기는 호흡기 내부의 공기보다 차갑고 건조하다. 이런 공기가 콧속으로 들어가면 점막이 건조해지고 섬모활동이 감소해 딱지와 균열이 생길 수 있다. 이 같은 변화로 작은 혈관들이 노출되면서 코피가 난다.

이런 현상은 공기가 건조해지는 가을 이후 특히 심해진다. 알레르기 비염이 있거나 비중격(코사이막)이 휘는 등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으면 더욱 심해진다. 콧속에서 가장 출혈이 잘 일어나는 부위는 양쪽 비강 사이에 위치한 비중격 앞쪽의 '키셀바하(Kiesselbach)'라는 부위다. 이 부위는 코끝에서 1~1.5㎝이내에 있고, 여러 혈관들이 얼기를 이루고 있다. 어린 아이들은 습관적으로 코를 후비면서 이 부위에 상처를 입혀 코피가 잘 난다.

비출혈은 크게 전방 출혈과 후방 출혈로 나뉘는데 90%이상은 코의 앞부분 혈관이 노출되어 생기는 전방 출혈이다. 전방 출혈은 건조한 날씨와 비염, 비중격 만곡, 코를 후비거나 문지르는 습관 등이 원인이 된다. 후방 출혈은 동맥경화증이나 고혈압을 앓고 있는 고령 환자에서 잦고, 출혈 부위는 주로 하비갑개(아랫 콧살) 후상부에 있는 우드러프(Woodruff) 혈관 얼기다.

전방 출혈을 지혈하려면 고개를 앞으로 숙여 목뒤로 피가 넘어가지 않게 하고 코 앞쪽 연골 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양쪽 콧볼을 지그시 압박하면 된다. 반면 후방 출혈은 압박으로 지혈하기 힘든 위치에 있어 과다 출혈로 이어질 수 있다.

대체로 코 앞쪽 점막에서 출혈이 의심되는 부위를 찾게 되고, 때로는 이물질로 인한 염증이 발견되기도 한다. 비중격 만곡 또는 비중격 천공(코사이막에 생긴 구멍) 같은 해부학적 이상이나 여러 형태의 종양이 발견되기도 한다. 드물게 혈액응고장애나 유전성출혈모세혈관확장증 같은 유전성 질환이 반복적인 비출혈을 일으킨다.

알레르기를 비롯한 각종 비염도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점막염증과 함께 출혈 빈도를 증가시킨다. 산모는 엽산(Folic Acid) 감소나 간질환, 혈액투석환자는 혈액응고장애로 인한 코피가 날 수 있다. 아스피린, 항응고제(와파린, 헤파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등의 약물도 비출혈과 연관 있으므로 복용하는 약을 잘 살펴야 한다. 고혈압은 코피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출혈 양을 증가시킬 수는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에 따르면 동맥경화증이 있는 6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쉽게 지혈되지 않는 비출혈이 발생한다면 가능한 빨리 병원을 가야 한다. 또 어떤 종류의 비출혈이든 자주 반복되거나 양이 많다면 반드시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원인을 밝혀야 한다.

평소에는 습도 조절에 신경 써야 한다. 코피가 잘 나는 사람은 주변 공기 습도를 55% 정도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실내가 건조할 땐 가습기 등을 이용해 습도를 조절한다. 코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생리식염수나 동등한 염도를 가진 소금물로 잠자기 전과 아침에 코를 부드럽게 세척한다. 수돗물이나 정수된 물같이 소금기가 없는 물은 적합하지 않다. 점막 건조가 심할 때는 코 안에 연고를 바르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