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한통 받았더니 내가 범죄용의자가 됐다?
돌연 경찰의 전화를 받았는데
당신의 신분증번호를 정확히 말하며
당신이 중대 사건과 관련된다고 알린다
거기에 구속영장까지 들고 나온다면
당황스럽고 놀랍지 않을가?
영상속의 정 녀사는
공안기관의 전화를 받았는데
보이스피싱에 련루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경찰의 조사에 협조할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가짜 경찰은 또 정 녀사에게 은행계좌의 돈을
모두 이른바 사건처리 전문
안전계좌에 이체하라고 지시했다
돈을 이체하고나서 정 녀사는
상대방과 련결이 차단된 것을 발견했다
통화 가운데 사기군은
자신의 공안국 신분을 거듭 강조하면서
환경음을 조작해
공안기관의 사무환경을 위조했다
잇따라 “구속영장”이라며 파일을 보내
피해자에게 압력을 가하고
최종 피해자가 사기 함정에 빠지도록 했다
이렇게 사기군들의 속임수는
아주 다양하다
01
피해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일부 사기군은 주동적으로 영상통화를 요구하고
경찰복, 사무실, 수갑 등을 보여주면서
사기극의 “진실성”을 강조한다
또 일부 사기군들은
경찰증을 보여주면서 신분을 “증명”한다
02
사기 과정에서
사기군은 화면 공유 기능이 있는
App 다운을 피해자에게 요구한다
일단 피해자가 화면 공유 기능을 열면
사기군은 입력한 은행카드 번호, 비밀 번호
문자로 받은 인증번호 등
피해자 휴대폰 속의 모든 정보를
낱낱이 볼 수 있다
사기군은 나중에 이같은 정보들로
대출과 안면인식을 신청할 수 있다
03
“당신의 은행카드가 돈세탁과 관련이 있습니다”
“당신 이름으로 된 은행카드가
사기사건에 휘말렸습니다”
“당신 이름으로 된 휴대폰 카드에서
대량의 스팸문자가 발송되였습니다”
“당신의 려권에 불법 입국 기록이 있습니다”
“당신이 의료보험 사취 혐의가 있습니다”
……
이같은 술수는 모두
피해자에게 겁을 주고 송금을 유도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기군은 또 사람이 없는
외딴 곳에 가서 조작하라며
가족과 경찰의 개입을 막는다
04
일부 뻔뻔한 사기군들은
경찰에게 잡혔어도
억지를 부리는 경우가 있다
“당신 경찰번호가 얼마요?
당신에게 바로 정직처분을 내리겠소!”
이같이 강경한 태도는
확실히 많은 피해자들에게 겁을 줄 수 있다
공안 검찰 법원이 형사사건을 처리할 때는 엄격한 법정절차를 거친다.
우리나라 80%의 형사사건은 먼저 공안기관의 립건조사를 거친 후 인민검찰원에 이송해 심사 기소를 진행한다. 검찰기관이 사건 사실이 명확하고 증거가 충분하다고 인정할 경우 인민법원에 공소를 제기한다.
알림: 공안 검찰 법원의 신분을 사칭하여 사기를 치면 사칭죄를 범할 수 있다. 범죄용의자가 사칭죄를 범한 동시에 사기죄까지 범했다면 법적으로 과중 처벌을 받는다.
사기예방 팁
“00”이나“+”으로 시작된 외국전화, 공안, 검찰, 법원 공무원이라 사칭하면서 범죄에 련루되였으니 자금 심사를 구실로 계좌이체를 요구하는 경우는 모두 사기이다!